본문 바로가기
IT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by 데브바이트 2023. 5. 24.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활용하는 가전제품 또는 모바일 장비 등의 여러 가지의 사물에 통신기능이나 센서 등을 내장하여 인터넷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용어로써의 첫 등장은 1999년 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 ID Center)의 소장 케빈 애시턴 (Kevin Ashton)이 RFID와 센서를 활용하여 사물에 탑재한 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 예측한 것에서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Stable Diffusion을 통하여 생성한 IoT 이미지 사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여러 장치를 표현

사물 인터넷의 작동 방식

 사물인터넷은 기본적으로 사물에 내장된 여러 센서를 통해 사물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활용되는 센서는 온도센서, 광센서, 이미지 센서(카메라), 사운드 센서, 압력 센서 등의 센서가 활용되며 각 장치가 수집하려는 정보에 맞추어 장착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장치의 데이터는 내장된 통신기능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어 분석 및 저장되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장치를 제어합니다.

 

사물 인터넷의 응용분야

 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첫째로, 산업분야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공장을 이루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계나 설비에 활용하여 생산실적이나 품질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생산성 향상에 활용하고 있으며 설비의 가동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설비의 고장파악이나 사전예방등의 유지보수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 제품에 사물 인터넷 기능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이용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최적의 사용방법이나 유지보수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둘째로, 의료분야에서는 IoMT (Internet of Medical Things)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의료기기에 사물인터넷 기능을 부여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의료기기의 동작 상황을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원격의료도 실현되고 있습니다.

 

셋째로, 스마트 홈 분야에서는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가전제품이나 조명, 냉, 난방기구의 제어하거나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하여 외출 시에도 집 내부의 가전제품, 조명등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넷째로, 스마트 시티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도시는 인구집중으로 인한 자원과 인프라의 부족, 교통의 혼잡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기존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추가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왔습니다. 반면에 스마트 시티는 도시에 설치된 CCTV이나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스템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CCTV와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하여 인구유동을 파악 및 분석하여 가로등을 켜거나 끄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전력의 사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교통량을 분석하여 우회로를 안내하는 등의 활용을 통해 에너지 소비의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다섯째로, 유통분야에서의 활용입니다. 유통분야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RFID나 NFC등의 기술을 통하여 재고관리  및 제품의 판매 분석 등에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제품의 판매량과 판매시기 등 을 분석하여 적정한 재고를 사전에 보유하고 물류창고 별 상품의 재고를 파악하여 상품을 출고할 물류센터의 위치를 결정하는 등의 과정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활용되며, 물류창고 내부의 상품 적재 위치나 상품 집품 동선을 계획하는 등의 시스템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물 인터넷은 생활이나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업계나 기업에서 사물 인터넷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도입을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 더 용도가 많아질 것입니다. 이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되는 장치가 많아질수록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해킹을 통한 사이버 공격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과 저장에 대한 보안을 필요로 하며, 현재 기술의 초기 단계에서 발달하고 있는 과정이므로 회사 간 또는 나라 간의 경쟁으로 인해 표준이 난립되고 있는 상태이다. 표준의 미확립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혼돈을 겪고 있으며 IoT의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하루빨리 국제적인 표준의 확립이 필요한 상태이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과 최신 기술  (0) 2023.05.31
인공지능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0) 2023.05.30
인터넷의 역사와 인터넷 기술의 발전 동향  (0) 2023.04.27
3D 프린터  (0) 2023.04.24
AUTO CAD  (0) 2023.04.18